본문 바로가기
자격증 공부/금속재료 자격증

금속재료 기능장 실기 준비 요령

by K잡부 2022. 5. 31.
반응형


왜 도전 했는가?

현장에서 일을 하다 보면. 오래 근무 하신 분들께서
"이거슨 기능장이 와도 해결 못해"..이런말을 간혹 하더라구요
몇번 듣다 보니.. 기능장이 오면 해결이 될까? 라는 생각이 되었고
회사에 기능장 보유자를 찾아 보았는데 아무도 없어서
아..나라도 기능장이 되어야 겠구나..라는 생각에 도전한
금속재료 기능장 실기 준비 요령입니다.


안녕하세요. K대리입니다.
오늘은 금속재료 기능장 시험에 대해서 한번 이야기 해보려고 합니다.

저도 기술사 시험에 도전 하기 이전에 앞서 기능장 시험에 먼저 도전을 하게 되었습니다.

그런데 특이하게도, 필기 시험양에 비해서 실기 시험양이 어마 어마 합니다. 이 부분은 금속 재료 기사랑은 참 다른 점입니다.;;

저는 21년 금속재료 기능장 시험을 보았고 필기 포함 총 두달 반 정도 소요 되었습니다. 일단 합격점수 공개합니다.



생각보다 고득점이었습니다. 문제중에 신출문제도 있었는데
기본적인 지식이 있으면 풀수 있었던 문제여서
문제하나하나 정성스럽게 풀었던것이 많은도움이 되었습니다.
(모르는 문제 나와도 최대한 조금이라도 쓰면 1점이라도 챙겨주는 듯 합니다. 아예 모르는 문제는 아예 틀렸지만 서도...)

1단계 필기
- 준비 난이도 : 하
- 준비 기간 : 1-2주

금속재료기사 자격증을 보유하고 있다면 혹은 금속재료기사 필기공부를 해보셨다면 필기자체는 기사시험에 비해서 난이도가 매우 낮습니다.
그렇기때문에 대부분의 분들이 기능장 공부하실때
필기시험은 대략 1~2주 정도만 기출문제 돌리고 시험에 임하게 됩니다. 난이도가 낮기때문에 저도 충분하다고 봅니다. 저는 시험문제집 하나 구입해서 일주일정도 풀어보았고 바로시험 진행했습니다.
여기서 필기시험 시험보고 CBT라서 바로합격여부 확인하니 시험끝나고 바로 실기 시험공부 시작하실것을 추천드립니다.

2단계 실기.
- 준비 난이도 : 중상
- 준비 기간 : 두어달

일단 실기는 개인차가 크다고 생각합니다.(본인이 관련 업무와 전공을 했다고 하면 비교적 쉽게 접근이 가능하다랄까?) 저는 준비기간은 한달 반이었고 메탈힌트에서 기출문제를 확보해서 계속 봤습니다.
(역시 기능장 시험은 기출문제가 짱입니다.)

그런데 문제는 실기문제가 그래도 아무생각없이 풀면 고득점이 힘들다는 문제가있습니다. 간혹 기출에 없는문제들이 나오기도 하고 비슷한 문제들도
있어서 외우기 까다로운 문제들도있습니다.(이러한 문제는 운이 좋으면 마치는 것이고 모르면 틀린다고 봐야 할 것 같습니다. 다 같이 틀리는 문제일테니..)

그러나 전체 문제를 관통하는 주제와 직접적인 원인과 해결대책에 대해서 이해하고 외우면 막무가내로
외운것보다 잘 기억하고 장기간 머릿속에 남습니다.

예를 들어. 큰 얼개를 오스테나이징 온도 수준까지 올리는 상황을 고려해보고 퀜칭을 한다고 했을 때
4M 상의 결함을 가지고 접근을 하면 비교적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대부분의 열처리 상의 결함은 적정하지 않은 작업 방법에서 비롯된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래서 저는 외울때는 외우더라도 이유를 찾아가면서 외웠습니다 . 문제알고 이해하는데 한 2주 정도 걸린듯 합니다.

그리고 어느정도 이해한 시점에서 Flash card 어플과 아이패드를 이용했습니다.
Flash card에 기능장 문제를 다 바꿔서 넣고 계속 풀어봤습니다.(변환하는데 일주일정도 소요)
아이패드가 좋은 점은 화면이 넓기 때문에 필기에 매우 유리하다는 점입니다. 저는 여유가 되신다면
아이패드 + Flash Card어플 추천합니다. 필답 준비 하는데 저는 정말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시험준비단계

  1. 일단 내 실력 확인 하고 공부가능시간 확인
  2. 짜투리 시간을 최대한 활용한다.(우리는 직장인....)
  3. 집중할 수 있는 시간은 하루에 2~3시간 이상 확보할 수있으면 굿
  4. 플래쉬카드 어플이용하여 기출 문제 풀이 하면서 암기
  5. 볼 수 있는 시간이 없다면, 녹음해서 듣는 것도 하나의 방법
  6. 메탈힌트에 모르는것 질문 등
  7. 반드시 한번에 합격한다는 마음가짐


이상입니다. K대리였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