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격증 공부/금속재료 기사

[2022년 3회] 금속재료기사 필답

by K잡부 2022. 10. 17.
반응형

1. {110} 면의 BCC 슬립계 갯수 랑 그림 그리기

 

2.내재적 개재물과 외재적 개재물 생성원인

 

3. 자분탐상검사 특징 4가지

 

4. 기계적 변화를 이용한 변태점 측정방법 4가지

 

5. at%랑 원자량을 바탕으로 wt% 구하기

 

6. 브래그 식 이용해서 격자 상수 구하기

 

7. 가스 침탄이 고체 침탄 보다 유리한점 4가지

 

8. 석출 및 스테인레스 강에 대하여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1) 석출강하의 첫번째 단계로 시편을 용해도선과 고상선 사이의 온도로 가열하여 균질의 고용체가 될 때 까지 유지하는 처리법은?

2)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 강의 공식을 방지하기 위한 대책 2가지

 

9. 로크웰, 비커스 압입자 각도

 

10. 브리넬 경도 계산 문제

 

11. 질화가스 강재 표면 화학식

 

12. Fick의 제 1법칙 및 확산 계수 단위 

 

13. 금속간 하합물 특징

 

14. 알루미늄 열처리 중 T4에 대해서 설명

 

 

 

 

-------------------------------------------------------------------------------------------------------------------------------------------------------------

 

1. {110} 면의 BCC 슬립계 갯수 랑 그림 그리기

 

1) 12개

2)  그림

 

 

2.내재적 개재물과 외재적 개재물 생성원인

1) 내재적 개재물 : 금속 자체에 존재하며 응고 과정에서 석출 되는 경우

2) 외재적 개재물 : 제강 공정에서의 슬래그, 대기와의 접촉에 따른 산소 혼입, 내화물, 주조 금형 재료로 부터의 혼입 

 

3. 자분탐상검사 특징 4가지

1) 검사 방법이 간단하며 저렴하다

2) 강자성체에만 적용이 가능하다

3) 직각방향으로 최소 2회 이상 검사 해야 한다.

4) 시험체의 크기, 형태, 모양에 큰 영향을 받지 않고 육안 관찰이 가능하다.

5) 시험면에 비자성 물질이 얇게 도포되어도 검사가 가능하다.

6) 전처리 및 후처리가 필요하며 탈지가 필요한 경우도 있다. 

7) 강자성체의 표면 및 표면 직하의 미세하고 얇은 결함 검출 중 강도가 가장 높다

8) 전기접촉으로 인한 국부적 가열이나 손상 발생 가능성이 있다. 

 

4. 기계적 변화를 이용한 변태점 측정방법 4가지

1) 열분석법

2) 시차열 분석법

3) 비열법

4) 열팽창법

 

5. at%랑 원자량을 바탕으로 wt% 구하기

단순 계산

 

6. 브래그 식 이용해서 격자 상수 구하기

 

7. 가스 침탄이 고체 침탄 보다 유리한점 4가지

1) 열효율이 좋고 작업이 간단하며 연속 침탄이 가능

2) 소재를 상자에 밀폐하지 않아도 된다.

3) 탄소 함유량을 목적에 맞게 조정할 수 있다. 

4) 균일한 침탄 층을 얻을 수 있다. 

5) 대량 생산에 적합하다. 

 

 

8. 석출 및 스테인레스 강에 대하여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1) 석출강하의 첫번째 단계로 시편을 용해도선과 고상선 사이의 온도로 가열하여 균질의 고용체가 될 때 까지 유지하는 처리법은?

용체화 처리 

 

2)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 강의 공식을 방지하기 위한 대책 2가지

1) 할로겐 이온의 고농도를 피한다. 

2) 액을 유동시켜서 균일한 산화성 용액으로 하고 산소농담전지의 형성을 피하거나 부식생성물을 제거 한다.

3) 액은 산화성을 증가하거나 반대로 공기를 차단하여 산소를 없앤다.

4) 질산염, 크론산염 등 부동태화제를 가한다.

5) 재료 중에  C를 적게 하거나 Ni, Cr, Mo, Si, N 등을 많게 한다. 

 

 

9. 로크웰, 비커스 압입자 각도

로크웰 120도

비커스 136도

 

10. 브리넬 경도 계산 문제

기존 기출 계산 문제

 

11. 질화가스 강재 표면 화학식

화학식 전, 후 확인해서 숫자 맞추면 되는 문제 인 듯 합니다. (간단)

 

12. Fick의 제 1법칙 및 확산 계수 단위 

1) Fick의 제 1법칙은 정상 상태 일 때의 확산으로, 시간에 따라 농도구배가 변하지 않을 경우 적용이 가능하다. 

J = 유속(Flux) / 확산종들이 확산하는 속도

D = 확산계수(m2/s)

dc/dx = 농도구배(m3 * m) / 확산 종은 항상 고동도에서 저동노로 진행하기 때문에 음의 부호를 갖는다. 

특정 온도에서 유속은 농도 구배가 일정한 경우에만 일정하다. 

 

13. 금속간 하합물 특징

1) 성분금속의 원자가 결정의 단위격자에서 일정한 위치를 차지함

2) 일반적으로 복자한 결정구조를 가지고, 매우 경도가 높고 취약함

3) 금속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일반적으로 전기 저항이 큼

4) 규칙-불규칙 변태가 없음

 

14. 알루미늄 열처리 중 T4에 대해서 설명

용체화 처리 후 자연 시효

 

반응형

댓글